2025년 9월, KRX 금시장 하루 거래량이 사상 최초로 1톤을 넘었습니다.
왜 지금 사람들이 금에 몰리는 걸까요?
지금 아래에서 그 내용을 확인해보세요!
목차
- 1. KRX 금시장 일일 거래량 사상 첫 1톤 돌파
- 2. 거래대금과 평균 거래량의 급증 추이
- 3. 금 가격 상승 배경과 안전자산 선호
- 4. 골드뱅킹·금 ETF 등 금융상품 열풍
- 5. 향후 전망과 투자 인사이트
1. KRX 금시장 일일 거래량 사상 첫 1톤 돌파
2025년 9월 9일, 한국거래소(KRX) 금시장에서 하루 거래량이 1,093kg을 기록하며, 2014년 금시장 개설 이후 최초로 1톤을 넘어서는 거래량을 달성했습니다. 이는 단일 거래일 기준 역대 최고 기록으로, 최근 투자자들이 금에 대해 얼마나 강한 관심을 보이고 있는지를 여실히 보여줍니다.
📈 투자자들의 관심, 왜 이렇게 높아졌을까?
- 안전자산에 대한 수요 급증
최근 글로벌 금융시장은 미국 기준금리 인하 기대, 중국 부동산 부실 이슈, 유럽 경기 둔화 등으로 인해 전반적인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변동성이 큰 주식이나 가상자산 대신, ‘안전자산’인 금에 대한 선호도가 급속히 높아졌습니다. - 환율 불안정과 원화 가치 하락 우려
2025년 9월 초 기준 원-달러 환율이 1,390원을 상회하며 원화 약세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는 수입 물가 상승과 인플레이션 압력으로 이어져, 가치 보존 수단으로서의 금 투자가 각광을 받고 있는 상황입니다. - 개인 투자자 진입 장벽 완화
KRX 금시장은 소액으로도 실물 금에 투자 가능하다는 점에서 MZ세대를 포함한 개인 투자자들에게 매력적인 시장이 되었습니다. 특히 비대면 계좌 개설과 모바일 거래가 쉬워지면서 접근성이 높아졌고, 최근엔 투자 커뮤니티·SNS를 통해 ‘금테크’ 정보가 빠르게 확산되고 있는 점도 눈여겨볼 만합니다.
💰 금값이 이토록 높은 이유 (2025년 9월 초 기준)
- 국제 금 시세 상승: 2025년 들어 국제 금 시세는 온스당 2,200달러를 상회하며 연중 최고치를 경신 중입니다. 미국 중앙은행(Fed)의 금리 동결 혹은 인하 가능성이 안전자산 매수세로 이어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 국내 금 시세 최고치 돌파: 9월 9일 기준 KRX 금시장 1g 시세는 167,740원으로, 기존 최고치를 경신했습니다. 이는 2025년 2월의 고점(163,530원)을 넘어서는 수준으로, **국내외 복합적 요인(금리·환율·인플레이션 등)**이 반영된 결과입니다.
- 중앙은행의 금 매입 지속: 세계 각국 중앙은행은 외환보유고 다변화를 위해 금 보유량을 계속 늘리는 추세입니다. 이는 장기적으로 금 수요를 견고하게 만들어주는 요소이며, 개인 투자자들에게도 ‘지금이 진입 타이밍’이라는 신호로 작용합니다.
2. 거래대금과 평균 거래량의 급증 추이
같은 날 거래대금은 약 1,794억 원으로 최고치를 경신했습니다. 평균 거래량 또한 2023년 56.2kg, 2024년 107.9kg, 2025년에는 313.3kg으로 급증했습니다. 이는 개인 투자자뿐만 아니라 기업·기관의 관심도 확대되고 있다는 점을 시사합니다.
3. 금 가격 상승 배경과 안전자산 선호
2025년 2월 기준 금 1g 시세는 163,530원으로 최고치를 기록했고, 9월 9일 종가는 167,740원으로 또 한 번 사상 최고가를 돌파했습니다. 미국 금리 인하 기대감, 각국 중앙은행의 금 매입 확대, 글로벌 경기 불확실성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4. 골드뱅킹·금 ETF 등 금융상품 열풍
2025년 현재, 금 관련 금융상품은 단순한 실물 구매를 넘어 디지털 금융 시장에서 가장 뜨거운 테마 중 하나입니다.
예금 대신 금을 사는 시대, 어떤 방법들이 있을까요?
📌 금 관련 투자 상품, 뭐가 있나요?
골드뱅킹 | 은행 앱에서 금(g) 단위로 사고팔 수 있는 예금 개념 | 실물 인출 가능(수수료 있음), 소액 투자 가능 |
금 ETF | 금 가격에 연동되는 상장지수펀드, 주식처럼 매매 | 매매 편리, 수수료 낮음, 실물 보관 불필요 |
금 펀드 | 전문 운용사가 금 관련 자산에 투자 | 장기투자 적합, 간접운용 |
금 선물/옵션 | 금 가격에 대한 미래 거래를 약속하는 파생상품 | 고위험 고수익, 투자 숙련도 필요 |
KRX 금시장 거래 | 거래소에서 1g 단위로 금을 직접 사고파는 방식 | 실물 수령 가능, 가격 투명 |
골드바 실물 구매 | 금은방, 백화점, 은행에서 실물 구매 | 눈으로 보고 보관 가능, 보관 리스크 존재 |
🪙 실물 금이랑 뭐가 다를까?
보관 | 직접 보관(도난·습기 위험) | 은행·증권사에서 안전하게 관리 |
유동성 | 다시 팔기 어렵고 시간 걸림 | 앱이나 HTS로 바로 매도 가능 |
수수료 | 매수·매도 시 수수료 높음 (최대 10%) | ETF는 수수료 낮고 명확함 |
단위 | 최소 1돈(3.75g) 이상 | 0.01g 단위로도 투자 가능 |
심리적 만족감 | 실물 보유로 안정감 | 간접 보유로 심리적 만족은 낮음 |
💡 정리하자면:
- 보관에 자신 있고 금값 상승을 ‘물리적으로 느끼고 싶다면’ → 실물
- 투자 효율성과 유동성을 중시한다면 → ETF나 골드뱅킹
💬 그럼, 금을 모으는 게 나을까?
✔️ 단기 시세차익이 목표라면
→ KRX 금시장, 금 ETF, 골드뱅킹 같이 매매가 쉬운 상품이 유리합니다.
→ 수수료가 낮고, 필요시 바로 현금화할 수 있어요.
✔️ 장기 보유하고 싶고, 유산/자산으로 남기고 싶다면
→ 골드바나 순금 제품도 나쁘지 않아요.
→ 다만 도난/분실 리스크 대비해 안전한 보관(금고 등)이 필수!
✔️ 인플레이션 헤지 수단으로 꾸준히 투자하려면
→ 매달 일정 금액을 금으로 환산해 적립하는 적립식 골드뱅킹도 추천됩니다.
✨ 참고로…
- 2025년 9월 현재, 국내 금 ETF의 순자산 총액은 2조 2,775억 원,
작년보다 2배 이상 증가하며 폭발적인 관심을 받고 있어요. - 일부 금 ETF는 최근 **한 달 수익률이 11%**를 넘기도 했습니다.
단순히 금값만 오르는 것이 아니라, 투자자금도 몰리고 있다는 뜻이죠.
📌 요약
금 투자는 더 이상 금은방에 가서 금을 사 오는 것만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클릭 한 번으로 금을 사고팔고, 보관 걱정 없이 시세차익을 실현할 수 있는 시대.
지금의 금융상품은 ‘현명한 금투자’를 실현할 도구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5. 향후 전망과 투자 인사이트
글로벌 투자기관 골드만삭스는 금값이 온스당 5,000달러까지 오를 수 있다고 전망했습니다. 올해 상반기 KRX 금시장 거래량은 37.3톤으로, 작년 동기(9톤) 대비 4배 이상이며, 2024년 연간 거래량도 이미 넘어섰습니다. 이는 금이 실물 자산이자 안전자산으로서 강력한 투자처가 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상품명 증권사 링크
KODEX 골드선물(H) | 삼성자산운용 | 바로가기 |
TIGER 금은선물(H) | 미래에셋자산운용 | 바로가기 |
KBSTAR KRX금현물 | KB자산운용 | 바로가기 |
ACE KRX금현물 | NH아문디자산운용 | 바로가기 |
HANARO 금은선물 | 하나자산운용 | 바로가기 |
댓글